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💡내 타이어에 웬 노란.빨간 점이? 유니포미티 마킹?

by rvn1000 2025. 8. 3.

타이어 유니포미티(Unformity) 마킹은 타이어의 균일성과 관련된 생산 공정상의 정보를 나타내며, 차량 조립 시 진동 최소화 및 주행 성능 향상을 위해 중요하게 사용됩니다.

사진: Unsplash 의 Vadym Kudriavtsev

 

✅ 유니포미티(Unformity)란?

타이어가 회전할 때 원형의 정밀도가 얼마나 균일한지를 나타냅니다. 이상적인 타이어는 완벽한 원형이어야 하지만, 실제로는 제조 공정에서 약간의 불균일이 생깁니다. 이런 불균일성은 진동, 소음, 조향성 저하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
🟡 대표적인 유니포미티 마킹 종류

1. Radial Force Variation (RFV) 마킹 – 노란 점 (Yellow Dot)

  • 의미: 타이어 원주 방향의 힘(Radial Force)이 가장 작은 지점 (즉, 가장 부드러운 부분).
  • 용도: 휠 림의 가장 무거운 지점(보통 밸브 위치)에 맞춰 장착하면 타이어-휠 조합의 균형이 좋아집니다.
  • 조립 시 팁: 타이어의 노란 점을 밸브 홀(Valve Hole) 에 맞춰 장착하면 동적 밸런스가 향상됩니다.

2. Uniformity 또는 High Point 마킹 – 빨간 점 (Red Dot)

  • 의미: 타이어의 가장 높은 지점 (High Point) 또는 가장 강성이 큰 지점.
  • 용도: 휠 림의 가장 낮은 지점(Low Point)과 정렬해 장착하면 편평도와 균형이 좋아집니다.
  • 조립 시 팁: 차량 제조사는 보통 휠의 Low Point를 표시(스티커나 홈)해두며, 여기에 빨간 점을 맞춰 장착합니다.

🎯 정리하면:

마킹 색상의미장착 기준목적
🟡 노란 점 최저 질량점 / 최소 RFV 휠 밸브와 정렬 무게 균형 향상
🔴 빨간 점 최대 반경점 (High Point) 휠 Low Point와 정렬 편평도 / 진동 저감
 

🚗 제조사 지침이 있다면 반드시 우선해야 합니다. 일부 제조사는 노란 점보다 빨간 점을 우선하기도 합니다.


💡 추가 팁

  • 타이어에 노란 점과 빨간 점이 둘 다 있을 경우, 어떤 마킹을 우선해야 할지는 차량 제조사나 타이어 회사 매뉴얼에 따라 달라집니다. 일반적으로:
    • 차량 제조사 장착 기준이 있으면 그것을 따름
    • 없다면: 빨간 점(균일성) > 노란 점(중량 밸런스)

 
 
 
 
 
 

타이어 측벽에 찍힌 노란 점(Yellow Dot)과 빨간 점(Red Dot)의 의미와 장착법을 자세히 설명드릴게요.


🟡 노란 점 (Yellow Dot): 가벼운 부분 (Light Spot)

  • 타이어 제조 시 측정된 무게가 가장 가벼운 지점을 표시합니다.
  • 대부분의 휠에서 밸브 스템(Valve Stem) 위치가 가장 무거운 지점이므로, 노란 점을 밸브 스템과 맞춰 장착하면 무게 중심이 보정되어 밸런싱에 필요한 추가 추의 양을 줄일 수 있습니다 
  • tpms 센서장착 휠은 무게 차이로 밸런싱값이 변동 될수 있습니다.

🔴 빨간 점 (Red Dot): 균일성 중심 (High Spot)

  • 이 점은 **반경 방향 힘 변화(RFV, Radial Force Variation)**가 가장 큰, 즉 타이어가 가장 완만하지 않은 부분 (stiffest/highest point)을 나타냅니다 
  • 휠에는 보통 휠의 가장 낮은 부분 (low spot) 을 나타내는 표시(스티커나 찍힌 점)가 있는데, 빨간 점을 이 위치와 맞추어 장착하면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 

⚙️ 어떤 점을 먼저 사용할까?

  • 노란 점만 있는 타이어 → 노란 점을 밸브 스템과 정렬.
  • 빨간 점만 있는 경우 → 빨간 점을 휠의 low point와 정렬 (없다면 밸브 스템 기준).
  • 노란 점과 빨간 점이 모두 있는 경우, 빨간 점 우선 정렬이 일반적입니다 (“Red Rules”) 

📋 비교 요약

경우정렬 대상주요 목적
노란 점만 노란 점 → 밸브 스템 무게 중심 → 밸런스 최소화
빨간 점만 빨간 점 → 휠 low spot (없으면 밸브) 반경력 변화 보정 → 진동 최소화
둘 다 있을 때 빨간 점 → 휠 low spot 진동 방지 우선
 

✅ 정리하며…

  1. 먼저 타이어 측의 빨간 점과 노란 점 위치를 확인하세요.
  2. 휠 측에 low spot 표시(스티커, 딤플 등)가 있다면 빨간 점 우선 정렬.
  3. 표시가 없거나 빨간 점이 없으면, 노란 점을 밸브 스템과 맞춤으로써 밸런싱 최적화.
  4. 장착 후에는 밸런싱 테스트를 꼭 시행하는 것이 안전하며, 제조사 지침이나 매뉴얼이 있다면 우선 참고하시길 권장 드립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