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❄️ 겨울철 자동차 공기압 경고등(TPMS)이 켜지는 이유 & 관리법

by rvn1000 2025. 7. 22.

 

🌡️ 1. 겨울철에 공기압 경고등이 켜지는 근본적인 이유

출처- pixabay

 

겨울철이 되면 많은 운전자들이 계기판에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켜지는 경험을 합니다. 이건 대부분의 차량에서 나타나는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에요. 왜 그런지 하나씩 살펴보죠.


🧊 (1) 타이어 안의 공기도 “수축”한다

타이어 안에는 일반 공기(78% 질소, 21% 산소, 1% 기타)가 들어있습니다. 이 공기도 온도에 따라 부피가 변하는 기체이기 때문에 기온이 낮아지면 타이어 내부 공기 분자가 수축해 압력이 내려가요.

📐 기체 법칙(샤를의 법칙)

  • 기체의 부피는 온도에 비례합니다.
  • 온도가 10°C 내려갈 때마다 타이어 공기압은 약 1 psi 정도 감소.

예시 👇

  • 여름에 공기압을 36 psi로 맞춰놨다면,
  • 겨울철 기온이 0°C로 떨어지면 공기압이 약 32~33 psi로 떨어짐.
  • 이때 차량의 TPMS 시스템이 설정된 공기압 기준치 이하라고 판단해 계기판에 경고등을 켬.

🚗 (2) 주행 중 경고등이 꺼졌다 켜졌다 하는 이유

타이어가 도로 위에서 구르면서 마찰열이 발생 → 공기 온도 상승 → 공기 팽창 → 공기압 상승 → 경고등 꺼짐.
하지만 주행을 멈추고 차가 식으면 타이어 공기가 다시 식어 압력이 내려가고, 다시 경고등이 켜져요.

즉, 겨울철에는 아침마다 경고등이 켜지고 점심에 주행하면 꺼지는 걸 반복할 수 있어요.


📌 (3) 겨울철 TPMS 경고등 빈발의 핵심 요약

기온 변화공기압 변화결과
+10°C 상승 약 +1psi 증가 경고등 꺼질 수 있음
-10°C 하강 약 -1psi 감소 경고등 켜질 가능성 증가
 

🛠️ 2. TPMS(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) 작동 원리

TPMS는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의 약자로, 타이어 공기압을 자동으로 모니터링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이에요. 이 시스템 덕분에 타이어 공기압 이상을 빠르게 알 수 있고, 타이어 손상이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죠.


✅ (1) TPMS의 두 가지 종류

🅰️ 직접식 TPMS (Direct TPMS)

  • 타이어 내부의 센서가 공기압과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
  • 무선으로 ECU(차량 컴퓨터)에 데이터를 전송
  • 기준치 이하로 공기압이 떨어지면 계기판에 경고등 점등

📊 장점

  • 공기압과 온도 모두 측정 가능
  • 매우 높은 정확도(오차 ±1 psi)
  • 타이어 위치별 개별 공기압 표시 가능

🔧 단점

  • 센서가 타이어 안에 있어서 교체 시 비용 발생
  • 센서 배터리 수명(약 5~10년) 후 교체 필요

🅱️ 간접식 TPMS (Indirect TPMS)

  • 타이어 내부 센서가 없고, 대신 ABS 휠 속도 센서를 이용
  • 공기압이 떨어지면 타이어 반지름이 작아지고 회전속도가 빨라짐 → 이 변화를 감지
  • 타이어 압력 수치 표시가 아니라 경고만 표시

📊 장점

  • 저렴하고 관리 쉬움
  • 센서 배터리 교체 필요 없음

🔧 단점

  • 정밀도가 떨어짐
  • 타이어 교체/위치 교환 시 리셋 필요

📖 3. 겨울철 공기압 관리법 (실전 팁)


✅ (1) 겨울철 공기압 세팅은?

타이어 제조사와 차량 매뉴얼에는 **“권장 공기압”**이 표기되어 있어요. 이 값은 대부분 기온 20°C 기준으로 설정된 것.
겨울철에는 기온 하락을 감안해 권장 공기압보다 약 2~3 psi 더 높게 주입하는 게 좋아요.

📌 이유

  • 겨울철 주행 중 공기압이 떨어지는 것을 보완
  • 타이어 변형과 접지력 저하 예방

단, 너무 많이 주입하면 타이어가 과도하게 팽창해 접지력이 떨어지고 승차감이 나빠질 수 있으니 적당히.


✅ (2) 공기압 점검은 언제?

  • 🚘 월 1회 점검 필수
  • ❄️ 특히 외부 온도가 10°C 이하로 떨어진 시기에는 주기적으로 확인
  • 점검은 반드시 냉간 상태(주행 전 타이어가 차가울 때) 해야 정확
  • 타이어 공기압은 가까운 주유소 에어펌프 또는 카센터에서 쉽게 점검 가능

✅ (3) TPMS 경고등 꺼지는 법 (차종별 리셋)

직접식 TPMS: 공기압을 보충하면 자동으로 꺼짐. 일부 차량은 리셋 버튼으로 수동 초기화 필요
간접식 TPMS: 공기압 보충 후 반드시 리셋 버튼으로 기준값 재설정 필요


🚨 4. 겨울철 공기압 경고등 무시하면?

경고등을 무시하면 타이어가 과도하게 납작해져서:

  • 연비 저하
  • 타이어 비정상 마모
  • 급격한 공기 손실(펑크)
  • 빗길/눈길 미끄럼 사고 가능성 ↑

즉, 반드시 공기압 점검 → 보충 → 리셋까지 해줘야 해요.


🏁 결론

항목설명
겨울철 경고등 원인 기온 하락으로 타이어 공기 수축 → 공기압 감소
TPMS 종류 직접식: 센서로 측정 / 간접식: 휠 회전속도 비교
공기압 관리 팁 권장치보다 +2~3psi 보충, 냉간 시 점검 필수
경고등 꺼지는 법 공기압 보충 → 자동 또는 수동 리셋(차종별 상이)
무시하면 위험성 연비 악화, 타이어 손상, 눈길 빗길 사고 위험 ↑